반응형 심리학/인지심리학9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Ebbinghaus's Forgetting Curve): 학습 효율을 높이는 과학적 비밀 여러분은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벼락치기를 해본 적이 있나요? 그때 배운 내용이 며칠 후에는 희미해져 버린 경험이 있을 겁니다. 또는 직장에서 중요한 발표를 준비했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니 발표 내용을 또렷이 기억하지 못했던 적은 없었나요? 왜 우리는 기억한 내용을 이렇게 빠르게 잊어버리는 걸까요?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기억과 망각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사람이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바로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Ebbinghaus's Forgetting Curve)"입니다. 1.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의 정의 망각곡선은 독일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n Ebbinghaus, 1850–1909)가 1885년에 발표한 연구 결과로, 인간이 학습한 정보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2024. 12. 12. 스트룹 효과란? 심리학 실험으로 알아보는 주의와 자동화의 충돌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정보를 처리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두 가지 과제가 동시에 주어질 때, 우리 뇌는 어떤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작업을 수행할까요? 단순히 글을 읽는 상황조차도 때로는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인간의 정보 처리 과정에서 주의와 자동화가 어떻게 충돌하는지 알려주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를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라고 부릅니다.1. 스트룹 효과란 무엇인가?스트룹 효과는 1935년 미국의 심리학자 존 리들리 스트룹(John Ridley Stroop)이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소개된 심리적 현상입니다. 그는 단어를 읽는 행위와 색상을 인식하는 과제가 동시에 주어질 때, 이 두 과정이 서로 간섭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실험은 단순한 단어와 색상의 조합을 사.. 2024. 12. 9. 인지심리학의 개요: 인간 마음을 읽는 과학 우리는 매일 아침 어떤 옷을 입을지부터 하루를 어떻게 보낼지까지 수많은 결정을 내립니다. 그리고 그런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정보를 분석하고 기억하며 판단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뇌는 과연 이 모든 일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에 답을 주는 흥미로운 학문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제목은 '인지심리학: 인간의 마음을 읽는 과학'입니다. 1. 인지심리학의 정의와 기원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은 인간의 정보 처리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1967년 **울릭 나이서(Ulric Neisser)**가 그의 저서 《Cognitive Psychology》를 통해 처음 정립했습니다. 이 학문은 행동주의 심리학이 무시했던 내적 정신 과정을 연구하며, .. 2024. 12.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